9375번: 패션왕 신해빈
첫 번째 테스트 케이스는 headgear에 해당하는 의상이 hat, turban이며 eyewear에 해당하는 의상이 sunglasses이므로 (hat), (turban), (sunglasses), (hat,sunglasses), (turban,sunglasses)로 총 5가지 이다.
www.acmicpc.net
해빈이는 패션에 매우 민감해서 한번 입었던 옷들의 조합을 절대 다시 입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늘 해빈이가 안경, 코트, 상의, 신발을 입었다면, 다음날은 바지를 추가로 입거나 안경대신 렌즈를 착용하거나 해야한다. 해빈이가 가진 의상들이 주어졌을때 과연 해빈이는 알몸이 아닌 상태로 며칠동안 밖에 돌아다닐 수 있을까?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가 주어진다. 테스트 케이스는 최대 100이다.
-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해빈이가 가진 의상의 수 n(0 ≤ n ≤ 30)이 주어진다.
- 다음 n개에는 해빈이가 가진 의상의 이름과 의상의 종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같은 종류의 의상은 하나만 입을 수 있다.
모든 문자열은 1이상 20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있으며 같은 이름을 가진 의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해빈이가 알몸이 아닌 상태로 의상을 입을 수 있는 경우를 출력하시오.
예제 입력 1 복사
2
3
hat headgear
sunglasses eyewear
turban headgear
3
mask face
sunglasses face
makeup face
예제 출력 1 복사
5
3
한번 입었던 옷의 조합은 입지않는다.
의상의 이름과 의상의 종류가 공백으로 구분
같은 종류의 의상은 하나만 입을 수 있음
[카테고리] = 개수
각 의상 종류 내에서 옷을 선택을 할 수도, 안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의상 종류별로 의상을 고르는 경우의 수는 의상 개수 + 1.
모든 의상 종류 내에서 의상을 고르지 않은 경우,
즉 의상을 하나도 고르지 않은 경우는 제거해줘야 한다.
옷 3개에서 옷 2개를 고르는 방법의 수는
3 * 2이다
그런데, 여기서 옷을 입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럼
(3 + 1) * (2 +1) = 4 * 3이다
하지만 여기서 아무것도 입지 않은 경우는 제외하므로 -1을 해준다.
testCase = int(input())
for case in range(testCase) :
n = int(input())
dic = {}
for i in range(n) :
name, category = map(str, input().split())
if category not in dic :
dic[category] = 1
else :
dic[category] += 1
#print(dic)
answer = 1
#각 의상의 개수가 a, b, c, ... 일 때
# 답이 {(a+1) * (b+1) * (c+1) * ... } - 1 이라는 것
for key in dic.keys() :
answer *= (dic[key] + 1)
#안입는 경우만 빼줌
print(answer-1)
'코테풀이 >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실버5] 10709번 : 기상캐스터(구현, 시뮬레이션) (0) | 2022.08.10 |
---|---|
[백준 | 실버5] 2828 : 사과 담기 게임(매우 복습 필요) (0) | 2022.08.10 |
[백준 | 실버2] 베르트랑 공준(소수, 에라토스테네스) (0) | 2022.08.02 |
[백준 | 실버2] 9996 : 한국이 그리울 땐 서버에 접속하지(구현) (0) | 2022.08.02 |
[백준 | 브론즈2] 1159번 : 농구경기(구현)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