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N×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
1 | 0 | 1 | 1 | 1 | 1 |
1 | 0 | 1 | 0 | 1 | 0 |
1 | 0 | 1 | 0 | 1 | 1 |
1 | 1 | 1 | 0 | 1 | 1 |
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 (1, 1)에서 출발하여 (N, M)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N, M)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N, M(2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예제 입력 1 복사
4 6
101111
101010
101011
111011
예제 출력 1 복사
15
예제 입력 2 복사
4 6
110110
110110
111111
111101
예제 출력 2 복사
9
예제 입력 3 복사
2 25
1011101110111011101110111
1110111011101110111011101
예제 출력 3 복사
38
예제 입력 4 복사
7 7
1011111
1110001
1000001
1000001
1000001
1000001
1111111
예제 출력 4 복사
13
문제풀이
미로찾기
1은 이동할수 있는 칸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
0,0에서 n,m까지 이동할때 지나는 최소개의 칸 구하기
문제해설
BFS는 큐를 이용하는 문제로
큐에 들어간 top값이 현재 지점 보고, pop()을 하는 순간 인접해서 방문 가능한 node들을 큐에 넣어준다.
(이때 방문 불가능한길은 x, 이미 방문한 길 x)
1. 큐생성 및 구한 거리값을 저장할 이차원 리스트 생성
dq = deque()
distance_list = [[0] * colum for _ in range(row)]
2. BFS 시작을 위해해서 초기값 큐에 넣기
- 시작 좌표도 방문완료 처리(벽(0)으로 만들어줌-0이면 방문하지 않음)
#BFS초기 준비
dq.append((start_x, start_y)) #1. 큐에 시작점 추가
map_data[start_x][start_y] = 0 #2. 큐에 넣은 시작점은 방문처리
3. 큐가 빌때까지 반복(큐가 비는 순간은 전부다 순회한 경우)
3-1. 현재 좌표 pop
3-2. 인접한 노드 순회 준비(top -> right -> bottom, light) 순서대로 방문
while dq :
now_idx = dq.popleft()
for i in range(4) : #4방향 이동(top-> right-> bottom-> light)
next_x = now_idx[0] + dx[i] #큐에 들어간 좌표 중 연결된 다음 x좌표[0]
next_y = now_idx[1] + dy[i] #큐에 들어간 좌표 중 연결된 다음 y좌표[1]
4. 인접 노드 방문을 위한 조건문
4-1. 맵을 벗어나지 않아야함
4-2. 길(1)인곳만 방문
#x좌표 내 and y좌표 내에서 이동 and 인접한 다음 방문할 곳이 길(1)인 경우 이동
if 0 <= next_x <= (row-1) and 0 <= next_y <= (colum-1) and map_data[next_x][next_y] == 1:
5. 인접리스트 실제 방문처리
5-1. 방문한곳은 재방문을 하지 않도록 벽(0) 처리
5-2. 거리를 누적해서 구하기 위해서 현재값 + 1을 다음 방문한 좌표에 누적
5-3. 큐에 다음 방문할 좌표를 추가
map_data[next_x][next_y] = 0 #방문한 곳은 벽(0)처리
distance_list[next_x][next_y] = distance_list[now_idx[0]][now_idx[1]] + 1 #현재값의 거리에 + 1
dq.append((next_x, next_y))
전체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start_x, start_y, map_data, row, colum) :
dx = [-1, 0, 1, 0] #top, right, bottom, light
dy = [0, 1, 0, -1]
dq = deque()
distance_list = [[0] * colum for _ in range(row)]
#BFS초기 준비
dq.append((start_x, start_y)) #1. 큐에 시작점 추가
map_data[start_x][start_y] = 0 #2. 큐에 넣은 시작점은 방문처리
while dq :
now_idx = dq.popleft()
for i in range(4) : #4방향 이동(top-> right-> bottom-> light)
next_x = now_idx[0] + dx[i] #큐에 들어간 좌표 중 연결된 다음 x좌표[0]
next_y = now_idx[1] + dy[i] #큐에 들어간 좌표 중 연결된 다음 y좌표[1]
#x좌표 내 and y좌표 내에서 이동 and 인접한 다음 방문할 곳이 길(1)인 경우 이동
if 0 <= next_x <= (row-1) and 0 <= next_y <= (colum-1) and map_data[next_x][next_y] == 1:
map_data[next_x][next_y] = 0 #방문한 곳은 벽(0)처리
distance_list[next_x][next_y] = distance_list[now_idx[0]][now_idx[1]] + 1 #현재값의 거리에 + 1
dq.append((next_x, next_y))
return distance_list
def solution() :
row, colum = map(int, input().split())
maps = []
for i in range(row) : #map 입력 받기
m = input()
temp = []
for j in m :
temp.append(int(j))
maps.append(temp)
distance_map = BFS(0, 0, maps, row, colum)
if distance_map[row-1][colum-1] != 0 :
answer = distance_map[row-1][colum-1] + 1
else :
answer = -1
return answer
print(solution())
'코테풀이 > B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골드5] 7576번 토마토(BFS, 우선 좌표 큐에 넣기) (0) | 2022.04.16 |
---|---|
[인프런 | BFS] 사과나무(BFS, 마름모) (0) | 2022.04.14 |
2단계_게임 맵 최단거리(BFS 기본 최단거리 미로찾기) (0) | 2022.02.15 |
공기청정기 - 2차원 확산(상하좌우 이동, 깊은 복사 copy.deepcopy) (0) | 2022.02.15 |
전장속으로 - 최종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