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수의 농장은 N*N 격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격자안에는 한 그루의 사과나무가 심어저 있다.

N의 크기는 항상 홀수이다. 가을이 되어 사과를 수확해야 하는데 현수는 격자판안의 사 과를 수확할 때 다이아몬드 모양의 격자판만 수확하고 나머지 격자안의 사과는 새들을 위해서 남겨놓는다.

 

만약 N이 5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진한 부분의 사과를 수확한다.

현수과 수확하는 사과의 총 개수를 출력하세요.

 

▣ 입력설명

 

첫 줄에 자연수 N(홀수)이 주어진다.(3<=N<=20)

두 번째 줄부터 N줄에 걸쳐 각 줄에 N개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이 자연수는 각 격자안에 있는 사과나무에 열린 사과의 개수이다.

각 격자안의 사과의 개수는 100을 넘지 않는다.

 

▣ 출력설명

 

수확한 사과의 총 개수를 출력합니다.

 

▣ 입력예제

 

5

10 13 10 12 15

12 39 30 23 11

11 25 50 53 15

19 27 29 37 27

19 13 30 13 19

 

▣ 출력예제

 

379

 

풀이 1

 >> n에 대한 중간값을 찾고

 >> 중간값에서 떨어진 범위 만큼 출력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7
arr2 = [[1013101215],
       [1239302311],
       [1125505315],
       [1927293727],
       [1913301319]]
arr = [[0,  1,  2,  3,  4],
       [5,  6,  7,  8,  9],
       [1011121314],
       [1516171819],
       [2021222324]]
 
arr = [[ 0,  1,  2,  3,  4,  5,  6],
       [ 7,  8,  910111213],
       [15161718192021],
       [22232425262728],
       [29303132333435],
       [36373839404142],
       [43444546474849]]
 
middle = n // 2
sum = 0
 
for i in range(n):
    if i <= middle:
        for j in range(middle-i, middle+i+1):
            print(arr[i][j])
            sum+=arr[i][j]
    elif i > middle:
        for j in range(middle-(n-i-1), middle+(n-i-1)+1):
            print(arr[i][j])
            sum+=arr[i][j]
print(sum)
 
cs

 

풀이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mport sys
sys.stdin=open("input.txt""r")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middle = n // 2
sum = 0
 
for i in range(n):
    if i <= middle:
        for j in range(middle-i, middle+i+1):
            sum+=arr[i][j]
    elif i > middle:
        for j in range(middle-(n-i-1), middle+(n-i-1)+1):
            sum+=arr[i][j]
print(sum)
 
cs

 

풀이 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import sys
sys.stdin=open("input.txt","rt")
 
n=int(input())
a=[list(map(int,input().split())) for _ in range(n)]
res=0
s=e=n//2
for i in range(n):
    # s부터 e까지 돌기
    for j in range(s,e+1):
        res+=a[i][j]
    # i가 n//2보다 작거나 클때
    if i<n//2:
        # 시작점은 한칸을 빼고, 끝점은 한칸을 늘린다.
        s-=1
        e+=1
    # i가 n//2보다 클 때
    else:
        # 시작점을 한칸을 늘리고, 끝점을 한칸씩 줄인다.
        s+=1
        e-=1
print(res)
 
 
cs

 

탐색&시뮬레이션(string, 1차원, 2차원 리스트 탐색 )_7_사과나무(다이아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