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5번: 한수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www.acmicpc.net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10

예제 출력 1 복사

99

예제 입력 2 복사

1

예제 출력 2 복사

1

예제 입력 3 복사

210

예제 출력 3 복사

105

예제 입력 4 복사

1000

예제 출력 4 복사

144

예제 입력 5 복사

500

예제 출력 5 복사

119

 

문제 정리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 = 한수

등차 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

n이 주어질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은 한수의 개수 출력

1,2        <- 한수
1,3        <- 한수
7,6        <- 한수
9, 6       <- 한수
9, 7       <- 한수
9, 8       <- 한수
1, 0, 0    <- 한수 x
1, 0, 1    <- 한수 x
...
1, 0, 8    <- 한수 x
1, 0, 9    <- 한수 x
1, 1, 0    <- 한수 x

 

해결 방법

1부터 99까지는 무조건 한수이다. -> 카운트 +1

100부터는 일일히 확인해야하는데 1000까지의 숫자를 확인하면 되므로

 

1   1   0 인 경우

[0] [1] [2]

[0] - [1]과 [1] - [2]의 차이가 같은 경우 한수이다

 

n = int(input())
count = 0

for i in range(1, n+1) :
    if i < 100 :            #1부터 99까지는 무조건 한수 등차값 1
        count += 1
    else :                  #100~n까지는 확인 해야함
        num = list(map(int, str(i)))        #리스트화 시켜줘야 각 자리수로 뺄수있음
        if num[0] - num[1] == num[1] - num[2] :     #1000이하이므로 두개만 비교하면 된다.
            count += 1
print(count)
[백준 | 파이썬 | 실버4] 1065번 : 한수(완전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