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Content delivery network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 요약

인터넷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세계 각지에 캐시서버를 엄청 많이 설치해서 서버와 서버의 물리적 거리를 줄여 사용자에게 빠르게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술


📌 개요
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물리적 거리(지리적 제약)를 줄여 웹 페이지 콘텐츠 로드* 지연을 최소화(신속하게 전송)하기 위한 촘촘히 분산된 서버로 이루어진 플랫폼, 이를 통해 전 세계 사용자들이 동일한 고품질 콘텐츠를 볼 수 있다.

 

*콘텐츠 로드 : HTML 페이지, javascript 파일, 스타일시트, 이미지, 동영상을 비롯한 인터넷 콘텐츠

CDN을 사용하지 않으면 오리진 서버들은 모든 엔드유저의 요청에 일일이 응답해야 한다.
이는 오리진 서버에 막대한 트래픽을 유발하여 오리진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할 확률을 높인다.

CDN은 오리진 서버를 대신하여 엔드유저와 가까운 물리적 위치 및 네트워크에서 엔드유저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콘텐츠 서버의 트래픽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 있는 방문자가 한국에 서버가 있는 블로그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보려는 경우 이 요청이 바다를 가로질러 이동하면 로딩 시간이 길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CDN은 'PoP(Points of Presence)'라고 하는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 캐시된 버전의 웹 사이트 콘텐츠를 저장한다. 이러한 PoP에는 자체 캐싱 서버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에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추가로, CDN은 대규모 분산 서버 장비로 공격 트래픽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제공자에게 DoS 공격에 대해서 어느정도 보호해 줄 수 있다.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 프레미스(on-premise) / 오프 프레미스(Off-premise)  (0) 2021.08.09
CDN(Content delivery network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